top of page

Profile
Artist IUM 이윰

이윰 프로필 사진.jpg

이윰은 자신이 직접 쓴 이야기 세계관을 바탕으로 그 이야기 세계의 주인공이 되어 표현하는 퍼포먼스, 조각, 설치, 사진과 영상등으로 내면의 세계를 현실의 세계로 가져와 시각화 하는 월드메이킹 퍼포먼스 아티스트이다.

그러나 그녀의 '월드메이킹 퍼포먼스'의 예술 영역은 비단 현대미술계가 다가 아닌 '예술-기술-경제-사회'의 영역을 아우르며 현실의 삶속에 파고들어 확장 해온 여정을 거쳐왔다.
 

​현대미술가로서의 이윰은 홍익대학교 조소과 및 동 대학원 조각과를 졸업하였으며, 자신이 만든 조각품을 직접 입고 '살아있는 조각'이 되는 퍼포먼스를 하면서 이전세대와는 차별화된 영상매체시대의 신세대적 감수성을 보여주며 등단하였다.

<빨간블라우스>(1995), <살아있는 조각>(1996), <하이웨이>(1997)등의 성공적 전시로 대중 매체의 지면과 방송에 활발하게 소개 되었고, 이어서 쌈지 아트프로젝트 후원작가로 선정되어 당시 20대 작가로서는 진입하기 어려운 국내 최고 메이저 갤러리인 <갤러리 현대>에서 개인전<매란국죽>(1998)을 발표하였고 국립현대 미술관의 추천으로 후쿠오카 아시안아트 트리엔날레에 한국대표로 참여하는 등 90년대 X세대를 대표하는 파격적인 퍼포먼스 아티스트로서 자신의 영역을 확고히 했다.

 

이후 일본 미술수첩에서 밀레니엄을 이끌 세계의 100대 아티스트 선정(2000), 성곡미술대상 수상(2002), 국립현대 미술관이 주관한 <한국미술 100년전>에 참여하는 최연소 작가로서 선정되었다(2005).

​이윰은 스토리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월드메이킹 작업을 위해  전방위적인 예술 활동을 해왔는데  먼저 예술적 대본의 역할을 하는 소설을 쓰고 그 소설속의 세계관과 내용을 시각화 시키는  작업을 해왔다.

미술 영역 뿐만 아니라, 무용가 음악가등  타장르의 예술가들과 함께 한 <이미지씨어터>(1998)크로스오버 공연, CF감독, 사진가, 디자이너등과 프러덕션 체제로 협업한  영상작업인 <하이웨이>(1997) <감각의 정화>(2005) 등이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윰은 국내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에서의 개인전, 또 미국 피츠버그 매트리스 팩토리 아티스트 레지던시를(1999) 비롯 세계 순회 전시 그룹전을 통해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해왔고,​주요 콜렉터로서는 국립현대미술관, 후쿠오카아시안아트뮤지엄, 코리아나미술관, 영은 미술관, 쌈지아트프로젝트 등이 있다.

이윰은 자신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의 기반인 <레드 디멘션>의 세계관안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하는 가운데 자신의 스토리 유니버스를 확장시켜 나갔다.

현대미술 영역의 예술가로서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 커뮤니티의 파운더로서의 예술가(2000~), 청년 예술인들의 멘토이자 교육자로서의 예술가(2007~), 사회문제를 예술적 방법론으로 해결하는 사회적 기업가로서의 예술가(2012~), 미래사회의 새로운 지경을 개척하는 아트-테크-비즈분야의 융합적 예술가(2016~)로서 활동해왔고, 2021년 현재 그녀만의 아트 메타버스의 미래 영토를 NFT 아트를 중심으로 구축하고 있다.

레드디멘션은 작가 개인의 세계관이기도 했지만, 한 예술 공동체의 공동체적 세계관으로 확장되기도 했는데,  LT 아티스트 커뮤니티(2000-2014)의 파운더로서 활동하는 동안 커뮤니티 베이스로 설립된 LT 아트스쿨(2007-2012)에서 이윰은 아티스트 멘멘토로서  레드디멘션의 이야기 세계관을 바탕으로 커뮤니티 아트의 기반을 놓고 아티스트들의 내면의 자화상과 예술적 재능을 새롭게 발견하여  교육+창작+발표를 위한 모든 콘텐츠 기획 및 교과 과정을 개발 실행해왔다. 

 

2007년 이후 공동체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예술가의 사회적 미션 실천을 위해 소셜벤쳐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예술을 통한 '창의인재 양성안'의 사업안으로 도전한 소셜벤쳐 아시아 대회에서 수상한 이후에는  '사회를 위한 창조적 치유의 예술'을 슬로건으로 하는 이윰액츠를 2012년에 설립하였다.

 

이무렵에는 레드디멘션의 확장된 세계관안에서 우리 사회 구성원의 창조적 자화상 발견을 위한  다양한 테마의 스토리아트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다양한 사회적 돌봄이 필요한 취약계층, 직업군, 세대별 연령층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했다. 

경쟁중심 사회에서 소위 3포세대, 5포세대, 7포 세대라고 말하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에게 참된 자기 정체성을 되찾도록 돕는 예술 프로그램이었으며 초중고 공교육에서부터 대학생과 청년들, 또 국내 대표적인 12군데 메이저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청소년 연습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아우르며 예술가로서 그들의 삶 속을 파고 들었다.

 

이 무렵, 문화예술과 사회혁신 국제 컨퍼런스 (2012), 사회적기업 국제 포럼(2014)에서 예술교육 분야의 우수사례로서 발제하기도 했으며 월드뱅크  김용 총재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국내 사회적 기업가를 대표하는 16인 중의 한 명으로  대담에 참여하기도 했다.(2014)

이윰의 활동 연혁 중 주요 강의 경력은 예술가로서 집중 활동하던 초기에는 홍익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미대생 대상으로 예술분야 강의를, 국민대, 건국대등에서는 디자인과 건축과 대상으로 조형강의를 위해 예술 강사로 출강했고, 2012년 이후 설립된 소셜벤쳐 이윰액츠의 대표로서는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등에서는 경영대생 대상으로 예술분야  기업가 정신 특강시리즈 및  광주교대에서는 교육분야 워크숍, 서울대 윤리교육 연구소와 서울대 통일교육 연구소와 함께 예술 인문학분야 고등 교과서 집필작업과 예술 교육 콘텐츠 연구를 실행, 2019년 이후 예술과 기술분야의 융합 분야에서 활동하던 시즌에는 백석대 미대생과 이화여대 공대생 대상으로 AI분야의 미래예술 분야 특강을 했다.

그 외의 주요 활동으로는, 홍대앞에 위치한 '이윰스페이스'에서는 예술-기술-경제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 크리에이터들, 체인지메이커들과 함께 미래를 향한 창발의 장을 만드는 '이윰살롱' 시리즈(2019~ 현재)를  살롱 예술가로서 기획해오기도 했다.

2021년 현대미술가로서 NFT 아트 분야에서 국내최초 퍼포먼스 아트 작품을 발표 한 이후로, 커뮤니티 중심으로 활동하는 다양한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미래예술 영토를 개척하고 있다. <ATTIC NFT ART>라는 NFT 아티스트 커뮤니티의 파운더, 그리고 <IUM NFT MUSEUM>의 아티스트 디렉터로서  다양한 메타버스 전시와 NFT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또한 2022년에는 AI 아트 분야로 작업 영역을 확장하여 '창작의 예술'로부터 '창계의 예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포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이윰은 현대미술가로서 미술계 안에서만 활동한 예술가가 아닌, 자신만의 이야기 세계관을 바탕으로 예술적-사회적-경제적-기술적 가치 실현을 하는 다학제적 예술가로서  메타버스와 NFT, 그리고 AI 아트 분야에 최적화된 예술이 어떤 것일지 그 가치와 철학을 세우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그녀의 레드디멘션은  NFT아트의 의미를 재해석하며  대체불가능한 한 개인의 정체성을 찾는 NFI(Non fungible Identity)의 이야기 세계관으로 제시하며, 블록체인을 사람들의 마음과 마음을 연결하는 하트 체인(Heart Chain)으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NFT 아트분야에 그녀만의 고유한 예술철학의 기반을 다지고 이윰만의 예술장르를 개척해 나갈 것이다. 

그녀의 빨간 명함에 '한평생 낯선 이방인처럼 살기를 바란다.'라고 스스로 맹세했듯, 그녀는 어느 한 군데 정착하지 않고 끊임없이 정진하며 예술가로서의 자기 정체성과 자기 예술 영토를 확장 시켜왔다.

월드메이킹 퍼포먼스 아티스트로서 그녀의 스토리는 열린 세계 그 자체이다. 그 스토리를 자기 몸으로 체화하는  퍼포먼스의 영역은 처음에는 미술영역에서부터 시작하였지만, 공동체의 영역, 다양한 사회영역, 그리고 미래사회 영역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의 마음과 마음을 연결하고 그 마음의 융합을 이룬 지점에서 이윰만의 N차원의 세계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이윰의 예술은 예술과 삶의 경계,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허물어뜨리고 넘나드는 예술가 자신의 존재와 삶 그 자체가 그녀가 추구하는 행위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빨강이윰로고 배경투명_edited.jpg

이윰 IUM

예술 활동 중심으로 간략화 시킨 요약  프로필 (selected)

​*전체 활동 프로필은 위의 이윰로고 클릭 다운로드  

 

홍익대학교 조소과 및 동 대학원 조소과 졸업

1995~현재  ㅣ예술계 등단 후, 국내외 개인전 8회, 단체전과 공연 100여회 발표 등

2000-2014 ㅣ <L.T 아트 커뮤니티> 파운더 및 아트 스쿨 디렉터

2012-2018 ㅣ 문화예술 소셜벤쳐 <IUM ACTS>  대표

2019~         ㅣ  <IUM SPACE> 대표

2021~         ㅣ <IUM NFT MUSEUM>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2022~         ㅣ <Attic NFT ART> 커뮤니티 파운더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쌈지아트프로젝트

광주 5.18 재단, 영은 미술관

코리아나미술관 Space*C

 

 

▶1995-2016국내외 그룹전 및 퍼포먼스 발표

1995 ㅣ 1회 개인전 <빨간블라우스> 보다갤러리

1996 ㅣ2회 개인전 <Living Sculpture>시우터 갤러리

1997 ㅣ3회 개인전 <하이웨이>조성희 갤러리

1998 ㅣ4회 개인전 <매난국죽>갤러리 현대

2002 ㅣ5회 개인전 <Ruach> Fujikawa 갤러리 (오사카)

2002 ㅣ6회 개인전 <폐쇄창고 이야기> Gan 갤러리 (도쿄)

2005 ㅣ7회 개인전 <감각의 정화> Space*C

2005 ㅣ8회 개인전 <깃발의 환상>Platform China 갤러리 (뻬이징)

 

▶NFT 아트 전시와 주요 발제

.

- 2021 ㅣ <Red Dimension> 퍼포먼스 NFT Genesis Drop Party

- 2022 ㅣ <RED : Ready for Exploring Dimension> 3인 展 NFT & 메타버스 전시 기획 및 작품 전시

- 2022 ㅣ Attic NFT ART <NFTis season 1>  / <NFTis season 2 > 메타버스 전시 크리에이티브 디렉팅 및 작품 전시

- 2022 ㅣ <Digital Era NFT ART 101>展 및 컨퍼런스 발제_강동아트센터

- 2022 ㅣ <Vizmesh DAO > NFT 프로젝트_뉴욕 타임스퀘어 전광판

- 2022 ㅣ <Janus : Multi persona>_뉴욕 Space 776 갤러리 NFT 그룹전

- 2022 ㅣ <THAI NFT Festival>_D.D.P

- 2022 ㅣ <KOREA / THAI / JAPAN NFT Festival>_언커먼갤러리

- 2022  l  <N개의 취향>_워커힐 빛의 라운지

- 2023 ㅣ <AI 아티스트 클럽 展>_디센트럴랜드 메타버스 전시

- 2023 ㅣ <The Creation of AI>_크리에이티브 디렉팅_메타버스 전시 기획_언커먼 갤러리 전시 

- 오픈씨, 그리고 비블록, SK 탑포트, 아카이브 MBC 등 큐레이션형 플랫폼에 NFT 작품 판매

▶1995-2016국내외 그룹전 및 퍼포먼스 발표

▷국내 대표전시와 퍼포먼스

2019 ㅣ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 2부 (국립현대미술관)

2019 ㅣ 한국비디오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국립현대미술관)

2016 ㅣ< X: 1990년대 한국미술> (서울 시립미술관)

2014 ㅣ<Heart Beat> (D.D.P 어울림광장)

2010 ㅣ<국제 패션 아트 비엔날레> (예술의 전당)

2010 ㅣ<공공디자인 엑스포> (코엑스)

2008 ㅣ KBS 낭독의 발견 <이윰>편 (KBS 홀)

2006 ㅣ <페이퍼테이너 뮤지엄>(올림픽공원)

2007 ㅣ<한국의 행위예술전> (국립현대미술관)

2005 ㅣ<한국미술 10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2002 ㅣ<광주 비엔날레> (5.18 자유공원)

 

 

▷국외 대표전시와 퍼포먼스

2015 l 동경 IAFT(Interdisciplinary Art Festival Tokyo) 한국 대표 퍼포먼스작가 참여.

2004  l <생명의 강물> (MIU, 울란바토르, 몽골)

2003ㅣ< Images of Asia> (Hovedbiblioteket, 에스베르그, 덴마크)

2000-2002 ㅣ <TEXT&SUB TEXT> *세계순회전시

(IVAN DOUGHRTY GALLERY 시드니, 호주), (Art Space, 시드니,호주), (MUSEUM OF FAR EASTERN ANTIQUITIES, 스톡홀름, 스웨덴), (Earl Lu Gallery, 싱가포르), (Taipei Fine Arts Museum, 타이페이), (Sternsen museum,오슬로, 노르웨이), (X-Ray Art Centre, 뻬이징), (Nikolaj Copenhagen Contemporary Art Centre, 덴마크)

1999 ㅣ<Tomorrow>(Rare gallery, 뉴욕, 미국)

1999 ㅣ<10 Asian Artist Exhibition>(매트리스 팩토리, 피츠버그, 미국)

1998 ㅣ<후쿠오카 아시안 아트 트리엔날레> (FAAM, 후쿠오카)

1998 ㅣ 이미지 씨어터 (문예회관 대극장)

▶ 주요선정 / 수상

1996 l 갤러리 시우터 선정 후원작가 

1998 l 갤러리 현대와 쌈지프로젝트 선정 제 1회 후원작가.

1999 l KBS와 문화예술 진흥원 선정 <발굴 이 사람>

1999 l 미국 매트리스 팩토리 레지던시 작가

2000 l 문화관광부와 MBC 방송의 캠페인 선정 <새로운 예술의 해> 작가.

KBS와 중앙일보 선정 새천년의 아티스트

일본 미술수첩 선정 Very New Art 100 작가
2002 l 영은미술관 아티스트 레지던시 작가

2002ㅣ 성곡미술 대상 수상

2005 l 코리아나 화장품과 Space* C 선정 후원작가.

▶주요 저서

1995-1998 l 빨간블라우스(1995),  하이웨이(1997),  IUM(1998).

 

▶주요 공연기획 / 연출

2012-2013 ㅣ<영혼의 조각가> 스토리아트 콘서트 1-2회 (포니정홀)

2008-2011 ㅣ<헤덴의 생명나무> 음악회 1-17회

2008-2011 ㅣ<L.T 에듀테인먼트> 1-4회

2006 ㅣ<빨간블라우스> 뮤지컬 공연 (롤링홀)

 

▶ 작곡 / 앨범 제작

2009 ㅣ Lev KISS 심장에 입맞추다

 

▶ 주요 전시기획 / 큐레이팅

2009 ㅣ<Lev Kiss>전 (이마주 갤러리, 서울)

2002 ㅣ<금단의 열매> 전 (성곡미술관)

1999 ㅣ<데몬스트레이션 BUS>전 (성곡미술관)

1996 ㅣ< TV> (공평아트센터)

이윰 전체 프로필 다운로드

bottom of page